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7

대구 생태힐링공간 대명유수지에서 화원유원지 유람선 3탄 사문진 나루터 유람선 사문진 나루터에서 유람선을 타기로 했다. 매표소이다. 승선신고서 작성 테이블 승선신고서를 작성 후 표를 산다. 승선권. 단체(승선인원20명이상)나 장애인 국가유공자 달성군민은 할인을 해준다. 유람선은 1시간마다 운영하는데 시간이 남아 주위 조경물과 경치를 감상해본다. 피아노. 1900년 3월26일 대구지역 선교사 사이드 보텀 부부가 한국 최초를 들여왔다. 빈 나무통 안에서 소리가 나는 것을 매우 신기하게 여겨 통 안에서 귀신이 내는 소리라 하여 '귀신통'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사문진에는 피아노를 형상화해 놓은 것들이 많은 것 같다. 사문진 나루터 역사 느림보우체통. 그런데 쓸 종이 이런 것들이 안 보인다. 기둥에 하얀 종이는 소원? 같은 것을 써서 사람들이 묶어놨더라 .. 2022. 3. 26.
인생글귀 김해찬 너무 치열하게 살지마라 인생은 우리에게 주어진 선물이지 맹목적으로 전진만 하다가 그렇게 죽어가라고 주어진 것이 아니다. - [상처없는 밤은 없다] 김해찬- 2022. 3. 22.
대구 생태힐링공간 대명유수지에서 화원유원지 유람선 2탄 달성습지에서 화원유원지 사문진 나루터 대명유수지 밑쪽에서 계단따라 올라오면 달성습지 방향으로 가는 길이 보인다. 넓게 시원하게 조성해 놓았다. 사진엔 없지만 조그마한 놀이터와 벤치들이 있어 놀이와 쉼이 편하게 되어 있다. 달성 습지로 내려오면 안내판이 보인다 아직 봄이라서 그런가 개구리 맹꽁이 이런류는 안 보이고 강위에 오리는 많이 보인다. 사문진 나루터, 화원유원지로 가는 물 위 데크에 달성습지에 대해 설명이 되어 있다. 데크따라 가다보면은 화원유원지가 나타날 것이다. 겹겹히 쌓인 지층 신기한 자연현상.. 디아크쪽으로 바라보면 낙동강 물이 시원하다 이런 푯말은 많지만.. 아직 실물로 보지는 못하였다. 데크위에 전망대처럼 올라갈수 있는데가 있다. 2층이다 화원유원지 사문진 나루터에 도착~ 다음 3편에서... 2022. 3. 21.
대구 생태힐링공간 대명유수지에서 화원유원지 유람선 1탄 대명유수지 유수지는 집중호우나 장마로 인해 늘어난 하천의 물 일부를 저장하는 곳이며 범람한 물에 도심지가 잠기는 것을 방지하고 하천 하류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대명유수지 전경 길 안내도 습지라서 맹꽁이가 있나 보다 입구 맹꽁이 캐릭터 대명유수지 열리는 시간 물억새, 달뿌리풀이 많이 나 있는데 시원한 바람이 풀면 풀소리가 좋고 나무데크가 그 가운데로 나 있어서 산책하기엔 좋은 장소이다. 아주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다고 푯말에 나오지만 아직은 추워서 그런가 저런 동물들은 보지는 못하여 좀 아쉽다. 갈대나 물억새는 많이 보였다. 이제 저 계단을 다 올라가면 화원유원지와 연결되어있는 쪽으로 가본다. 대명유수지 산책은 힘들지도 않고 산책로가 길지도 않아서 잠깐 걷기에 충분한 것 같다. 여기서 사문진 .. 2022. 3. 21.
모델리스 커스텀과 temporary crown 모델리스 커스텀 커스텀과 temporary crown을 위해 스캔 파일이 왔다. 이 파일은 3shape 디자인 시 임플란트 위치를 위한 스캔 바디를 구강 내 fixture에 꼽고 스캔을 한 사진 커스텀 디자인. cnc가공과 환봉가공이 있는데 cnc가공은 hex까지 다 밀링 하는 것이고 환봉가공은 hex는 가공되어 있는 기성 제품을 밀링 하는 것이다. cnc가공을 했으면 커스텀 위 지르코니아로 바로 제작이 가능한데 환봉을 밀링하여 일단 temporary 제작을 한다. 환봉으로 밀링 하면 오차가 조금 있어서 바로 지르코니아 하기에는 조금 힘든 것 같다. 가능은 하지만 잘 안 맞으니 한번 더 스캔하는 게 더 맞는 것 같다. 임플란트 치아 사이즈 맞추기가 어렵다. 임플란트 식립이 잘 되면 상관없지만 구강 내 환.. 2022. 3. 17.
지르코니아 가공 밀박스 계산하기 밀박스 계산하기 먼저 밀박스를 켜고 새 프로젝트를 선택하면 지르코니아, pmma, hybrid disk, wax 이렇게 선택창이 나온다. 4가지의 재료 중 지르코니아 밀링 할 거니까 지르코니아 선택한다. 디자인 완료된 stl 파일 선택한다. 여러가지의 두께가 있는데 치아 사이즈에 맞는 블럭을 선택한다. 지금 파일은 높이가 낮아서 12T로 제작한다. 12T, 14T, 18T, 20T, 22T를 주로 사용한다. 30T 자리 제품도 있다. 밀링을 하다보면 여러 가지의 블럭이 있는데 쉐이드에 맞게 적절히 선택한다. 블럭을 선택했다면 치아를 밀링 하기 위한 자리에 놓는다. 치아를 위치시키고 커넥터를 알맞은 자리에 부착한다. 컨택이나 얇은 부위를 피하고 언더컷이 생기지 않는 부위에 부착한다. 계산을 할텐데 5축을 .. 2022. 3. 16.